본문 바로가기
심리학

MMPI-2 임상소척도 Harris-Lingoes Subscales : Hy4 (Somatic Complaints), (4) Denial of Psychological Issues

by 정판교 2023. 6. 17.
728x90
SMALL

(4) Denial of Psychological Issues (심리적 문제 거부)

심리적 문제 거부(Denial of Psychological Issues)는 개인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자신의 정서적 또는 심리적 문제의 존재를 인정하거나 받아들이기를 거부하는 방어 메커니즘을 말합니다. 개인이 MMPI-2 내에서 Harris-Lingoes 하위 척도의 Hy4(Somatic Complaints) 하위 척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으면 심리적 문제를 부인하거나 최소화하는 경향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다음은 심리적 문제 거부의 특성에 대한 몇 가지 추가 세부 사항과 설명입니다.(한글+영어)

  1. 정서적 인식의 억제
  2. 증상 최소화
  3. 신체적 증상에 대한 의존
  4. 감정 표현 회피
  5. 자기기만
  6. 낙인 또는 약점에 대한 두려움
  7. 치료에 대한 저항
  8. 웰빙에 미치는 영향
  1. Suppression of Emotional Awareness
  2. Minimization of Symptoms
  3. Reliance on Physical Symptoms
  4. Avoidance of Emotional Expression
  5. Self-Deception
  6. Fear of Stigma or Weakness
  7. Resistance to Therapy
  8. Impact on Well-being

(추가 설명)

  1. 정서적 인식의 억제: 부정에 관여하는 개인은 종종 자신의 감정적 인식을 억제하고 불편하거나 고통스러운 감정을 인정하지 않으려고 합니다. 그들은 심리적 문제의 중요성을 무시하거나 경시하여 효과적으로 의식적 인식에서 밀어낼 수 있습니다.
  2. 증상 최소화: Hy4 하위 척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은 개인은 자신의 심리적 증상을 경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자신의 고통을 외부 요인으로 돌리거나 일시적이거나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최소화는 더 깊은 정서적 문제에 직면하지 않도록 자신을 보호하는 방어 메커니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3. 신체적 증상에 대한 의존: 심리적 문제를 부인하면 개인이 자신의 감정적 또는 심리적 고통을 탐구하기보다는 주로 신체적 증상에 집중하게 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정서적 투쟁의 보다 추상적이고 주관적인 특성보다 신체적 증상의 유형적이고 가시적인 특성을 우선시할 수 있습니다.
  4. 감정 표현 회피: 부인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감정 표현이나 심리적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피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대화를 개인적인 문제로 돌리거나, 주제를 바꾸거나, 유머나 빈정거림을 사용하여 감정적 웰빙에 대한 논의를 빗나가게 할 수 있습니다.
  5. 자기기만: 부정은 개인이 자신의 심리적 문제가 존재하지 않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스스로 확신하기 때문에 종종 어느 정도의 자기기만을 포함합니다. 그들은 통제감을 유지하거나 불편한 진실에 직면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못된 이야기를 만들거나 긍정적인 전망을 채택할 수 있습니다.
  6. 낙인 또는 약점에 대한 두려움: 일부 개인은 판단, 낙인 또는 도움을 구하는 것과 관련된 인지된 약점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심리적 문제를 거부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정신 건강에 대한 부정적인 믿음을 가지고 있거나 자신의 어려움을 인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결과에 대해 걱정할 수 있습니다.
  7. 치료에 대한 저항: 거부하는 개인은 치료를 찾거나 참여하는 데 저항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치료를 불필요한 것으로 인식하거나 자신의 자아 이미지 또는 확립된 방어 메커니즘에 대한 위협으로 볼 수 있습니다. 거부를 극복하고 심리적 문제에 대한 수용을 장려하는 것은 치료 개입에서 중요한 도전이 될 수 있습니다.
  8. 웰빙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문제를 부정하면 개인의 성장, 정서적 웰빙 및 대인 관계를 방해할 수 있습니다. 감정적 경험을 피하거나 억제함으로써 개인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군분투할 수 있으며, 이는 지속적인 고통, 관계 어려움 및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상의 잠재적인 악화로 이어집니다.

심리적 문제의 거부는 복잡하고 다양한 기본 요인에 뿌리를 둘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거부를 인식하고 해결하려면 종종 신뢰, 탐색, 통찰력과 자기 인식의 점진적인 개발을 촉진하는 협력적이고 지원적인 치료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728x90
LIST

댓글